전 윈도우용 터보씨++ 3.1을 쓰고있습니다.
sizeof 연사자로 int 형은 2바이트 char 형은 1바이트 long 형은 4바이트가 나옵니다.
제가 궁금한점은
#include <stdio.h>
void main()
{
long i=33L;
printf(" i=%ld, %ld\n",i,i+sizeof(i));
printf(" %d\n",sizeof('a') + sizeof(char) % 2);
}
위 예문에서 두번째 printf문에서 값이 2가 나오는 것입니다.
sizeof('a') 가 1바이트고
sizeof(char) 가 1바이트고 % 2 한값을 더해주는데 왜 2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1%2 는 0 이 아닌가여?? 제가 헷갈리고 있는건가요??
두번째 printf 문은 1 + 1 % 2 가 아닌가요?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1 %2 의 값은 0 이고 그래서 1 + 0 은 1 이나와야 될것같은데요...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는
printf("%d",1%2); 를 하면 값이 1이 나옵니다.
하지만
float i=1%2;
printf("%d",i); 를 하면 값이 0이 나옵니다.
수학적계산으로는 0이 나오는게 많는것 같은데요..
아니면 제가 너무 헷갈리는 건가요.....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