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유닉스 계열에서 / (슬래쉬)를 사용해서 디렉토리를 구별합니다.
옛~날(DOS)에는 안되었던것 같은데 지금은 윈도우에서도 잘 됩니다. (코드에서는 계속 잘되었던듯...)
도스를 보면 디렉토리 구분이 / 에서 \(역슬래쉬)로 바뀌고 확장자란 개념으로 파일명 .확장자로 파일명을 규정하는등 유닉스에서 변화를 주었던것 같습니다.
(더 쉽게 하려고.. 라 생각됩니다. 어쨋든 다른 이유일지라도 많은 사람들이 쓰게되어 요즘은 MS 세상~ ㅎㅎ -,-)
이선한 님이 쓰신 글 :
: #include <rgrl/rgrl_transformation.h>
: #include <rgrl/rgrl_util.h>
: #include <vnl/vnl_math.h>
: #include <vnl/vnl_least_squares_function.h>
: #include <vnl/algo/vnl_levenberg_marquardt.h>
:
: 위와 같이 헤더파일들을 include 시켰는데요
:
: 파일명이 rgrl/rgrl_transformation.h 에서 보시면
: /는 파일명으로 사용할수가 없는데 저렇게 되어있네요...
: 저건 무엇을 의미하는것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