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터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역참조 연산자와 배열의 관계에 관한 건데요.
공부하면서 약간 궁금한 것이 몇개 생겼습니다.
1. 2차원 배열 포인터 변수는
선언하거나 정의할 때는 int (*ABC)[x]; 라고 표현하면서
왜 출력같은 것을 할 때는 printf("%d\n", **(ABC+1)); 이렇게 역참조를 2번이나 써야 하나요?
2. 역참조연산자랑 역참조연산자2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1차원과 2차원 포인터변수를 출력시키는데서 달라지는 건 알겠지만,
머릿속에서 정리를 할 수가 없네요.
차이를 상세히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2차원 배열을 2차원 포인터변수로 출력시킬 때
꼭 역참조연산자를 2개 집어넣어야 하나요?
2차원 배열을 나타내는데 1개를 집어넣으니 쓰레기값이 나오더군요.
초기화를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천천히 답해주셔도 좋습니다.
정성스럽게만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써놓고도 횡설수설이네요. 너무 졸려서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