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의 하이퍼쓰레딩 설정은 OS 차원의 설정이 아니라 메인보드 차원의 설정입니다.
따라서 끄려면 윈도우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부팅할 때 CMOS 셋업에서 하셔야 합니다.
하이퍼쓰레딩 설정은 바이오스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보통 Advanced Setup이던가 페이지에 있을 겁니다.
물론 이렇게 해서 상황이 나아지는 것은 현재 시스템의 CPU가 하이퍼쓰레딩을 지원하는 펜티엄 계열 CPU일 때만입니다.
XP의 시스템 복원 모드는, 정확하게는 파이어버드의 확장자인 fdb가 아니라 인터베이스 확장자인 gdb에 대한 것입니다.
인터베이스에서 파이어버드로 넘어오면서 기본 확장자가 gdb에서 fdb로 바뀌었습니다만, 파이어버드에서는 하위
호환성을 위해 gdb 확장자도 인식을 합니다. 만약 현재 디비 파일의 확장자가 이미 fdb로 되어있다면 이 문제와는
무관한 것입니다. 만약 gdb로 되어 있다면 단지 확장자를 fdb로 변경하기만 하면 해결됩니다.
그리고 디비 파일의 크기에 대해...
그정도의 스키마로 40메가가 될 수는 절대로 없습니다. 1메가도 안되죠. 아마 600kb 정도일 겁니다.
혹시 디비 파일을 처음부터 create database로 생성한 것이 아니라 다른 디비 파일을 복사해서 수정하거나 해서 만드신
것은 아닌지요. 파이어버드나 인터베이스는 내부 데이터를 RLE 방식으로 압축해서 파일로 저장하기 때문에 오히려
대부분의 다른 디비보다 크기가 작아집니다. 예를 들면, 액세스 디비(mdb)를 파이어버드로 옮기면 반 정도로 줄어듭니다.
원인이 어떻든, 쓰레기 데이터가 엄청나게 많이 쌓인 것으로 보이므로 쓰레기 데이터를 지울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파이어버드에서 쓰레기 데이터를 싹 지우려면 백업/리스토어를 하시면 됩니다.
이건 파이어버드 자체의 bin 디렉토리에 있는 커맨드라인 유틸리티들로도 할 수 있지만, 커맨드라인 옵션이 좀 복잡하므로
자료실에서 ibexpert를 받아서 하시면 복잡한 옵션들을 쉽게 설정해서 백업/리스토어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정민경 님이 쓰신 글 :
: 답변감사합니다.^^~
:
: 이젠 뭔가 좀 알 것 같네요.
:
: 제가 xp에서 시스템 보호 모드를 제거하고 해 보니깐
: 원하는 속도가 나오네요.
:
: 그런데
: 98에서 하이퍼스레딩을 제거하는 방법과
: 시스템보호모드에서 firebird만 제거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
: 어디에서 제거하는지를 모르겠네요.
:
: ===
: 그리고, 한가지만 더 질문하겠습니다.
:
: firebird DB 기본 용량 문제에 대해서...
: 처음 테이블을 만들고 나서 나온 용량이 40메가 가량 되었습니다.
: 아무리 생각해도 터무니 없이 큰 용량인것 같은데,
: 테이블이 21개, 트리거 9개, 젠너 9개 생성되 있습니다.
:
: 이해 할 수 없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되어 어려움이 있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