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켓 IO Type
Blocking : 지정한 크기 만큼 전송 할 때 까지 대기. 전부 전송성공 or 전부실패
Non Blocking : 전송함수가 바로 리턴. 일부만 전송될 수도 있음.
Overlapped : 전송 함수가 바로 리턴. 결과는 나중에 다른방법으로 알려줌
소켓모델
MultiThead : Socket 마다 Thread를 생성하여 전송함.
Reactor(예 : Select, epoll, kqueue) : Reactor계열 함수를 호출 하여, 전송가능 여부를 확인 후 전송 함수를 호출
Proactor(예 : IOCP, ACE Proactor, boost::asio) : 전송함수를 호출 해 두면, 전송 후 완료여부를 CallBack 해줌
김상면 님이 쓰신 글 :
: 비동기모드 블록킹 논블리킹...
: 이렇게 3가지 소켓 프로그래밍 방식이 있다고 하는데...
: 저는 select방식밖에 모르는데....
: 각 방식을 설명한 책이나 설명 부탁드립니다.
: 프리그래밍 강좌를 요청한다고 해야 하나.. 그런거 해도 되나....
: 하여튼 부탁해요...
: 그라고 며칠있다가 이글은 지울랍니다. 너무 뿌그러버서...
: 그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