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20549] `갤2 HD` 돌풍…LTE폰 절대강자 등극' 나 원.... 쩝
박영목.월천 [gsbsoft] 4376 읽음    2011-12-03 10:57
`갤2 HD` 돌풍…LTE폰 절대강자 등극'

5년 전인가 다닌 회사 팀장에게 2주 전에 전화가 왔습니다. 서버쪽 프로그램 하는 것을

외주 처리했는 데...  진전도 안되고 어떻게 해서... 그래서 좀 참여하라고...

저는 뭐 안되는 땜방용이라... 이 나이에 불러줘서 너무 고마왔음..... 그래 난 아직 늙지

않아서... ㅋㅋㅋ   뭐 서버는 자바로 하면 간단히 되니까?  아 그러자 그랬습니다.

안드로이드, 아이폰과 주고 받는 서버라고 했습니다. 푸시메세지도 보내고... 뭐뭐....

그래서 공부를 또 열라이 했습니다. 아.. 뭐 그런 것이군....

2주 정도 지나며 전화도 하고... 출장도 몇일 전에 갔다 오고... 하면서 이제 윤각이

드러나기 시작헀습니다. 접속자 수 이게  상상할 수 없는 정도로 많을 것이라는 예상

하게 되었습니다. 나도 모르게 겁이 덜컹... 아~~~ 이런 것 어떻게 해야 하나?

한번 참여하면 끝을 보는 데... 아니면 내가 죽거나... 이번에 아마 죽겠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구조상 이 서버는 계속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습니다. 그러면 HTTP통신으로 보내고 앱에서 이것을 받아 앱에 뿌려지게 하라고 하면

되겠더군요... 앱에서 받는 부분 좀 버벅되지 않게.. 뭐 쓰레드로 감싸던지.. 하면 되겠다.

그런데 이런 앱도 되나? 웹이 되니 되겠지...  모르니... 그래서 출장갔다 온 날 새벽에

찾아보았습니다. ㅋㅋㅋ  HTTP 이었습니다. 그럼 당연하지...ㅋㅋㅋ

이제 제가 서버를 만들어야 할 이유가 없었졌습니다. 푸시쪽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내가 서버를 만든다... 쉬운 동기화 형식으로 하겠지요 멀티쓰레드로 그러면 당체 몇개나

쓰레드를 자연스럽게 돌릴 수 있을까?  HTTP로 하는 것이 앱에서 어떻다고 하면 어떻게 하나..

내가 앱에서 예제라도 만들어 보고 버벅되지 않으면서 동작하도록 기본 구조는 해봐야 될 것

같은 데...  그리고 어째도 전체를 테스트 한다고 해도.. 필요한 것이고... 그래서 안드로이드

폰으로 바꾸었습니다. 그전 것은 부산역 때문에 웹 되는 아무것나 주세요 하고 싼 악명높은

WinCE, 악명의 누명을 벗기 위해 보조금도 준다고 하고 이것 저것 빼고... 또 공짜로 ** HD LTE

를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요금이 좀 비싸다... 폰을 그 전 것 *** S2로 하지요... 그런데...

판매원 "*** S2가 더 비쌉니다."   "왜요?",  "삼성에서 그렇게 하라고 합니다", '순수한 저는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구닥다리가 더 비싸다'  그러면 할 수 없지... 그래서 구입하고 영광도서

들러서 아이폰, 안드로이드 책 2권 사고... 집에 왔서 인터넷을 여는 순간 뉴스 타이틀에 

'갤2 HD` 돌풍…LTE폰 절대강자 등극'   갑자기 정신 번쩍... 아 맞다... 이제 생각난다...

LTE폰 이것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닥다리를 더 비싸게 하구나... 아 저번에 구닥다리

C++Builder 6.0 이  더 비싼 것처럼... ㅋㅋㅋ   정말 대단하다... 어쨌던 공짜로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밧데리가 너무 빨리 방전되는 군요... 별로다... 이 부분에서 WinCE가 더 그리워집니다.

프로젝트에 참가하니 흥분이 되서 잠이 오지 않습니다. 새벽에 일어나.. 또 연구를 했습니다.

HTTP통신 분명 방향은 잘 잡았습니다. 서비스 문제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접속이 느려지면

웹서버 더 늘리면 되고... 관리도 쉽고... 저도 4년 전까지는 이렇게 응용하는 것 이상하게 생각

했습니다. 그런데 Naver 출신이 주축이 되어 웹하드를 만드는 데 서버를 만들지 않는 것입니다.

3명이 클라이언트만 줄기차게 만들기에 사람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물었습니다. "서버는?"

"그것은 웹으로 처리한다"  이 답을 듣고 저는 그게 되나? 생각했습니다. 웹페이지가 아니고

데이타만 받아 응용에 뿌려주는 것으로... 그런데 이게 성공했습니다. 서비스도 그런대로

잘 되었습니다. 나 원,... 저런 방법도 있군... 그런다가 매장음악 방송 플레이어를 수정해 주는

데 목록 가져오고... 넣고 하는 부분이 전부 HTTP로 .. 되어 있는 것입니다. 아~~~ 이것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는 군...  가만히 생각하니 장점이 참 많았습니다. 물리적인 하드웨어 많이 아낄 수

있다는 느낌... 검정되고 안정적이라는 느낌... 서버 개발이 아주 쉽다는 것 그냥 웹페이지만

간단한 것 몇개만 만들면 된다는 것...  단점은 약간 느리지 않을까? 그런데 웹페이지 열리는 것

보니 생각보다 빠른 것 같고... 스마트폰에 데이타를 많이 뿌릴 것도 같지도 않고.. 그래도 좀

느리지 않을까?  내가 웹서버를 하나 만들어 보면 어떨까?  뭘로 어떻게... 기본 정보도 없는 데...

그러다가 자바 책을 뒤져 보는 데.... 웹서버 소스가 떡 나타났내요... 왜 옛날에는 못봐지...

눈이 빠져라... 소스에 집중했습니다. 헉~~  간단한다. 이것 뭐... 장난이군... 그냥 요청 받고 값

만들어 보내고  접속 Close 이게 핵심입니다. ㅋㅋㅋ  굳이 아파치 같은 서버 안사용하고 자바로

하나 만들면 되겠다. HTTP 를 프로토콜 없는 그냥 소켓 만들고 데이타 받고 보내고 닫는다. 아 이러면

특정 용도에 딱이겠다. 그런데 이런 서버를 만들면 Client를 동시 접속하는 수 만큼 쓰레드를 생성

해두고 접속이 들어오면 일을 하지 않는 쓰레드를 찾아 연결을 시켜주는 데... 웹서버는 대게

700개의 동시접속을 하는 줄 알고 있는 데... 물론 서버 설정 바꾸면 더 늘릴 수 있지요...

쓰레드를 700개나 돌릴 수 있나? 의문이...????  이렇게 만들어 보지 않아서,... 몇년 전 웹하드

만들었을 때...그때 동시 접속자 수를 확인했어야 하는 데... 그때 멀티쓰레드로 돌렸는 데...

아깝다... 그때 접속자를 수를 알아두었다면 쓰레드가 몇개까지 잘 도는지... 알았을 것인데....

아파치 서버도 정말 Client와 연결하기 위한 Thread를 700개 만들고 시작할까? 다른 방법으로 처리

할까? 너무나 궁금합니다.   혹 서버에서 쓰레드 몇개 정도 동시에 돌려도 이상없는지 경험해 보신 분...

물론 쓰레드의 크기, 메모리... 등 변수가 있지만..  대략 알고 싶습니다. 자신이 경험한 것이나

들은 이야기나?  문서로 본 내용이라도 어떤 것도 환영합니다.   댓글 부탁합니다.

아~ 수문장님께 메일 보냈는 데... 연락이 없네요... 작은 분수쪽에 노이즈 현상 같은 데...

노이즈 문제에 대해 물어보려고 했는 데...  답장이나 전화가 없내요,,, 그 메일이 사용하지 않는

메일인가 봅니다...   혹... 이 글 보시면 연락부탁드립니다.
Lyn [tohnokanna]   2011-12-03 11:14 X
쓰래드 수천개 돌려도 잘 돕니다 =_=a 32bit면 쓰래드스택 크기땜에 2000개이상 생성이 안되지만 그거야 스택크기 줄이면 될문제고. 단순한 테스트에선 쓰래드 만개돌려도 잘 돌아 갑니다

아파치가 원체 느려 터져서 수천명이 동시에 붙을일은 없지만.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3 11:58 X
Lyn 역시 엄친아임... 모르는 것이 뭐야... ㅋㅋㅋ   아파치가 많이 느리구나 몰랐습니다. 웹에 관심이 멀다보니...
수천개라 음...  직접 웹서버 같은 놈 한번 만들어 볼까 하는 생각이 일어납니다. 만들어봐야 1주일 내에 될 것 같은 데..
Copy & Pate에서 좀 수정하면 될 것 같은...  빠른 답변 감사...^^      다른 분들의 답변을 또 간절히 기다리는 월천...
아제나 [azena]   2011-12-03 15:35 X
요즘은 어딜봐도 HTTP + JSON 이 거의 디폴트처럼 취급되더군요.
데이터 통신만을 위한 미들 웨어 개발은 이제 구시대의 유물처럼 되어가고 있네요.
솔직히 웹 기반으로 개발하기가 편하고 관리도 쉽고~ 무엇보다도 스테이블하다는 것이 최대 장점 같습니다.

HTTP 서버를 만드신다는데 HTTP 서버만 가지고는 할 수 있는게 없어서 가장 중요한게 PHP, ASP, JSP 같은 Server-side Script 지원인데, 그것을 하시려면 머리 아프실꺼예요. 보통 CGI 방식으로 돌리면 성능이 아파치보다도 못할테니까요 ㅎㅎㅎㅎ

스레드는 수만개를 생성할 수 있지만, Context switching이라는 막대한 비용을 상쇄할 만큼의 값어치를 가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니 스레드 갯수는 최소로 잡고 어떻게 재사용을 하면 성능에 좋을지 잘 생각하셔야 합니다 ㅎㅎ
IOCP 하다보면 보통 적정 스레드 갯수를 CPU 코어의 2배로 잡고 하죠. 그게 가장 퍼포먼스가 높다고 경험적으로 개발자들이 터득한 것이거든요;;;;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3 16:37 X
아~ 게을러 누워 신휴대폰으로 입력하다가 거의 다 입력해서 전체선택되면서 ㅛ가 눌러졌음.. 에고 Ctrl-Z 어떻게 하는 거야? 멍~ 역시 PC야 ㅋㅋㅋ PC켜고 입력 중 아제나 감사요 딱 맞추었습니다  서버프로그램 + JSON 이런 것을 HTTP + JSON 으로 제가 결정했습니다. 앱에서 받아 충분히 매끄럽게 표현할 수 있을 것 같고  관리적 측면에서 좋은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출장갔다 와서 밤에 바로 결정... 통보 해버렸습니다. 지금은 어느 정도 만들어져야 하는 데 이 부분 때문에 지연되고 있고 저렇게 가다가는 몇달도 갈 것 같아서... 이렇게 결정했는 데... 이렇게 많이 사용하는 군요... ㅋㅋㅋ   HTTP 같은 것 만든다는 것은 Lyn이 아파치가 느리다고 해서 어째도 JSON형식으로 주고 받을 것이고 PHP에서 이렇게 하는 것보다 자바서버프로그램에서 요청들어오면 DB쿼리하고 JSON 포멧으로 만들어 보내고 소켓을 닫는 형식으로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서버프로그램 만들면 Client가 끊을 때까지 유지했거던요.. 그리고 접속할 때 thread 생성하고 이 방식을 쓰레드 1000개 미리 만들어 두고 쓰지 않는 놈 연결 시키고 요청 받고 응답고 하고 소켓닫고 이렇게 하겠다는 것입니다. 정말 쓰레드 적개 만들고 접속 다 받아 내면 더욱좋겠지만... ㅋㅋㅋ 이런 고난이도로 서버프로그램을 만든 적이 없네요... 앱에서 HTTP의 POST로 요청할 것인데... 이때는 & ... & 이런씩으로 하겠지요 이것 보다 JSON 그대로 보내고 받고 하면 더 좋을 것 같아서... 생각했던 것입니다. 별것 아니구요.. 이때까지 제가 서버프로그램 만드는 형식보다 HTTP 서버소스를 보니 여러 아이디어가 떠올라 생각한 것입니다. 혹 효율이 떨어지면 또 과감히 요 부분을 바꿀라고 할 것 같습니다. 뭐 잘되면 관계없고.. 내부에서 앱도 만들고 하면 걱정이 없는 데... 앱은 외주처리 이기 때문에... 대화할 시간도 부족하고 여러가지 신경이 많이 쓰입니다.
HTTP POST 방법으로  JSON 포맷으로 보내는 것도 쉽게 안되나 해보질 않아서... 물론 받는 것도 해보질 않았습니다. 실험할 떄 해보겠지요... 옛날에 한 것은 &..&.. 이렇게 보내고  ...*....*....* 이런씩으로 구분자 주어서 했거던요... 요즘은 JSON을 쓴다고 하니 이제 이쪽으로 해봐야 합니다. 아파치에서 PHP로 JSON 포멧으로 하여 앱과 잘 되면 서로간에 불평이 없고 만족하면 그대로 갑니다. ㅋㅋㅋ.. 질문 하는 김에  HTTP POST JSON 포멧으로 요청해 보신 분 있으면 약간 가르쳐 주십시오... 아직 실제적으로 해보지 않아서... 그냥 자바에서 JSON-LIB 구해서 JSON포멧으로 이렇게 만드구나 실험만 했습니다.  아직 하나도 안했기 때문에... 어떻게 하나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뭐 구상이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또 다른 고수님들의 방법을 전수해 주십시오... 넙죽
Lyn [tohnokanna]   2011-12-03 17:27 X
Server Side Script 지원은 예전엔 어려운문제엿지만 지금은 너무나 쉬운 문제가 되버렷죠.

예를들어 Lua라던가 (...) Ruby 라던가 ;; Python 이라던가 붙이면 한큐에 해결되니까요.
Lyn [tohnokanna]   2011-12-03 17:28 X
php도 IIS가 fastcgi 쓰는것처럼 붙이면 될 것 같은데 이건 안해봐서 패스.
Lyn [tohnokanna]   2011-12-03 17:29 X
아파치가 무거워서 속도가 비교적 중요한 서비스는 lighttpd 를 이용한경우도 많은듯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3 17:39 X
Lyn 감사 목록에서 댓글이 7개라 와 하고 들어왔는 데... Lyn  3개 추가를 하셨네... 그래도 감사
오 이게 lighttpd 뭐지 새로운 것이내요... 새로운 것 할 때는 정보를 많이 얻고 결정해야 합니다.
다른 분들 더 가르쳐 주십시오.. HTTP + PHP + JSON, <- -> APP  뭐던지... 더 많이 알아야 합니다.
직접 경험한 것이면 더 신뢰가 갑니다. 약간의 설명이 저에게는 엄청 큰 힘이 됩니다.  댓글을 또 기다리는 월천...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3 17:50 X
lighttpd 찾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유명한 것을 몰랐다니... 역시 여유가 있고 호기심이 있고 놀지 말고 프로젝트를 늘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네 이 회사에서 입사하라고 합니다. 분수는 복사만 해주면 되고... 조직이 그립기도 하고... 새로운 것 배우고 적용하고 재미있지요... ㅋㅋㅋ

lighttpd는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다.

lighttpd는 웹 2.0 관련하여 유명한 YouTube, Wikipedia, Sourceforge, Meebo 의 웹 서버로,

2007년 4월에 집계된 NetCraft의 웹서버 순위에 5번째로 등록이 된 바 있다.[

--------------------------

....
그러다가 lighttpd로 사용했는데, 그럭저럭 속도가나 왔으나 동접이 3000명 넘기자마자 덜덜덜덜 거리더니 넉다운, 지금은 nginx을 쓰고있다. 너무 쾌적하다. 아니 쾌적한걸 떠나서 심하게 빠르다. 이게 프록시인지 아닌지 감[각주:1]을 못잡을 정도로

--------------------------

lighttpd 이것 괜찮아 보이내요.. 빠르게 동작하는 모양입니다. nginx 이건 또 뭐야

그래도 유명한 사이트에서 채택한 lighttpd 이 놈이 끌리내요...  웹팀장에게 물어봐야

겠습니다. 새로운 것이 보이면 실험을 해봐야 하는 데... 구닥다리 들고 몇년을 계속

사용하니 이것 밖에 없다. 이런씩 같음... 여유가 없어서 그렇겠지요... 여유가 있어야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아파치 보다 좋겠네요... 느낌이...  홈페이지는 그대로

APP과 주고 받는 놈은 이것 설치하고 하면 어쩌면 훨씬 뛰어나겠내요.....

더 많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Lyn [tohnokanna]   2011-12-03 17:57 X
nginx 는 외국 웹하드 (...) 에서 많이 보이더군요. 일본쪽 위키에서도 사용하는거 본적 잇구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3 18:27 X
네... 감사요.... 너무 많이 도와주네... ㅋㅋㅋ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4 17:32 X
nginx 도 찾아보았습니다 아파치 대체 후보에 들어가는 막강한 놈이군요 그런데 아파치와 비교하면서 아파치가 접속자가 증가할 수록 메모리 사용율 증가한다고 하는 것 보았습니다  이것으로 아파치 구조는 알아버렸네요 접속할 때마다 쓰레드를 생성한다 그러니 늘릴 수 ㅂ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nginx는 접속자가 늘어도 메모리 변화가 없고 메모리도 적게 차지 하군요 쓰레드 몇개 처음에 생성해 두고 실행하는 것 같습니다 접속자가 아주 많으면 느려지겠지만 그래도 평균적으로 가볍고 빠르겠네요^^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4 17:58 X
댓글 달다 휴대폰 밧데리 없다는 창이 보인 것 같은 데.. 밧데리 보니 부족하군요. 어제 저녁 늦게 12시 가까이 되어 충전한 것 같은 데... 오늘 전화 1분 정도 한 것 같고 인터넷 접속 몇분, 그 외는 그냥 숨만 쉬도록 두었는 데... 소리, 화면 밝기 전부 다 최저로 낮추었는데... 이런 휴대폰 어떻게 쓰나? 점점 후회가 됩니다. 제가 LG U쪽이라 그냥 번호이동 안하고 했는 데... 어제 대용량 추가 방법이 있는지 인터넷 찾아보니 *** HD LTE SKT/KT는 휴대폰이 뚜꺼워지지만 근 2배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던데... 이것은 나오지도 안는군요. 용량이 3600 정도 되어야 숨만 쉬고 1일 반이나 2일 정도 갈 것 같은 데... 돌겠군... 대기로 3일 정도는 가야하는 것 아닙니까? 사람이 어째도 밧데리를 들고 다녀야 할 판인 데 그냥 뚜겁게 만들지... 나원 에이... SKT/KT용 *** LTE 구입하실 분 구입해서 대용량 인터넷에서 구해서 붙이고 다니세요... LGU 것은 언제 나오려나... 역시 사람들이 많은 쪽으로 구입해야 되는 것 같네요... 아무 생각없이 그냥 구입하는 성격이라..  이럴 줄은 꿈에도 몰랐음...  너무 불편하다... 정말... ㅠㅠ
깔쌈보이 [handsome]   2011-12-05 10:16 X
요즘은 서버쪽 플밍을 MS껄로만 개발하다보니...
말씀하신 문제는... HTML 5(안드로이드 브라우저에서 100% 지원하는지 확인못했네요)로 하거나... WCF로 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드네요 ㅋ

제가 올해에 아이패드랑 갤탭 데이터 중계용 서버 플밍을 했었더랬습니다.
동시접속수가 많아봐야 20~30 정도라서 WebService로 했었는데,솔직히 불안불안 합니다. 동접수가 내년엔 100배 가까이 뛸거라니까요...
WCF로 바꾸건 HTTP+JSON으로 바꾸건 저도 쌩똥을 조만간 싸겠네요 --;

아... 언제 MS를 버리나? ㅠ.ㅠ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5 11:12 X
아~ 깔쌈보이님과 28분 정도 전화대화를 나누었습니다. 깔쌈보이님의 WebService와 저의 HTTP가 같은 것이라는 것 ㅋㅋㅋ 용어를 이렇게 사용해서... 뭘까 궁금하고 앱에서는 잘 될까? 뭐 이런 고민, WebService와 HTTP, WCF 이해하는 데 20분 이상 소모했습니다. 제가 이해될 때까지 계속 질문하는 스타일이라... ㅋㅋㅋ   전화 끊고 나니 좀 미안함 마음...  깜쌈보이 미안....
음 고전적인 서버프로그램을 안 만들고 WebService로 정말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조금 마음이 놓입니다. 이제 서버쪽 환경만 좀 빠르게 구성하도록 노력하면 될 것 같네요,...  아직 할 것은 많지만 정보가 더 중요한 것이니까?   이쪽으로 관계하시는 분 댓글을 달아주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제가 위에 댓글 밧데리 빨리 소모된다고 했는 데... 저 놈 약간 불량이거나 매장에서 쓰다가 준 것 같은 느낌입니다. 다른 밧데리로 바꾸니... 소모 속도가 영 다릅니다. 전화 30분 했는데도... 내려오지 않내요...좀 더 두고봐야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월요일 되십시오.... 아짜~~~~~~~~~~
Lyn [tohnokanna]   2011-12-05 17:25 X
나는야 고전적인인간 ㅜ.ㅜ
깔쌈보이 [handsome]   2011-12-05 18:17 X
데이터 및 클라이언트 접속관리까지 모두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구축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운영을 하다보면 그게 무조건 최선의 선택이 되지는 않더군요.
저도 불과 몇년전까지는 직접 모든걸 만들었었는데... 워낙 변화무쌍하게 주변이 변하다보니...
서버만큼은 표준적이고,검색만으로 환경을 이해할 수가 있는 것으로 구축하는게 직접 만드는 것 보다 뭔가가 조금씩 부족하더라도 결과는 훨씬 나았었습니다.

서버를 만들었는데,개발 당사자가 아닌 다름 사람이 내부로 접근하려는 경우... 진짜 다양한 방식으로 빡치는 경우를 여럿 경험하다보니 슈퍼울트라급 서비스가 필요한 서버가 아니라면, 범용성이 큰 서버시스템을 구축하는게 효율적이더라는 경험적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5 19:11 X
두분 다 감사요...^^    오늘은 nginx에 더 찾아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서버로 사용하는 점유율이 올라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원 적게 차지 하고 성능 좋고 물론 nginx 개발하시는 분들은 힘들겠지만... 어느 기사보니 네이버에서도 내부적으로 테스트를 했는 데... 지금쯤 적용하고 있지 않나 하더군요... 구글링 해봐도 아파치에서 이 놈으로 옮겼다는 것도 제법 보이고... 웹 팀장에게 성능 테스트한 내용 찾아 보내 주었더니 테스트해  볼 모양입니다. 잘 되어야 할 텐데... 언제 끝이 날련지.... 뒤에 참여해서 휘적고 다니는 느낌도 약간 들고... 많은 정보를 주신 분들께 다시 감사를 드립니다. 다른 정보 있으면 더 주세요... 그런데 댓글은 계속 달 아도 이상이 없는지... 답변을 더 줄 것 같아서...  ㅋㅋㅋ
김모씨 [testcode]   2011-12-06 20:51 X
nginx가 대세입니다.소셜 게임쪽은 다 nginx를 사용하죠 장점은 빠르고 안전하게 특정 세션만 죽는다는 겁니다. 보안적인 면도 장점입니다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6 21:57 X
nginx  대단하군요...  testcode님.... 감사합니다.   빨리 쾌유하시길... ^^
쌀막걸리 [raguru]   2011-12-09 17:33 X
얼마전 통화하던 플젝인가보네..

그냥 동접 몇천명 이상 아니면 유지보수 편한게 최고야
그냥 아파치 설치하고 동접관련 설정 튜닝 좀만 하면 돼..
나도 현재 일일 방문수 10만 서버를 아파치로 사용하고 있고 동접은 400명 이한데
아무 문제 없다.

나중에 트래픽이 문제돼면 그때 서버만 바꾸면 돼도록 신경쓰고..

연말 잘 보내~
어플 활성설치수는 13만 정도고..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9 18:06 X
ㅋㅋㅋ gomtos 이것은 묻지 않은 것인데... 자네도 웹서비스로 하는 모양이네...  아무래도 방향을 잘 잡은 것 같다. 이것 때문에... 몇일 고민했거던... ㅋㅋㅋ   제어쪽 빼고는 웬만하면 전부 서버는 웹서비스로 해야겠다. 편한 것이 최고지... 별 차이 없다면.... 그래도 nginx가 당긴다. 내가 설치할 것도 아니지만...  그래 잘 보내라...
깔쌈보이 [handsome]   2011-12-09 18:30 X
WebService는 어느 플랫폼에서 하건 부하가 많아지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단지 MS의 IIS가 특히나 억수로 심하다는 것일 뿐...
WebService로 해결하려는 생각은 고쳐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을 위한 서비스라면 서버의 퍼포먼스에 무척 신경써야 할 겁니다.
서버에서 제공해주는 여러가지 서비스의 퍼포먼스 중 WebService가 바닥권에 있다는 것만큼은 까먹지 마시길... ^^
박영목.월천 [gsbsoft]   2011-12-09 19:16 X
적용시켜 보고... 결과 보고하겠음 ^^

+ -

관련 글 리스트
20549 `갤2 HD` 돌풍…LTE폰 절대강자 등극' 나 원.... 쩝 박영목.월천 4376 2011/12/03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