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21253] RTOS에서 개발 하시는 분 있나요?
송신영 [palindrome] 10136 읽음    2012-04-02 11:10
장비쪽으로 RTOS에서 개발하시는 분이 있나요?
일반 PC에서 개발하는 것과 RTOS에서 개발할 경우
장단점이 뭐가 있을지 혹시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C Base로 만 개발하다가 RTOS로 전환 하려면 선행 기술이 뭐가 필요한가요?
모션 보드나 I/O 모듈등 일반 PC에서 사용하던 것을 RTOS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RTOS를 설치하는 H/W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쩝.. 아는게 하나도 없네요...
선생님의 많은 충고 부탁드립니다.
빌더(TWx) [builder]   2012-04-02 11:49 X
VxWorks, pSOS, Nucleus, QNX, Lynx 등 RT-OS 종류는 매우 많은데... 중요한 건 타겟보드 제조사에서 BSP(Board Support Package) 얼마나 충실하게 지원하고 있는가.. 또 호스트 측 개발환경은 얼마나 잘 되어 있는가도 관건이 되겠죠. 저 사양 하드웨어에선 RT-OS가 많이 쓰이기도 하지만, 요즘같이 보드 스펙이 크게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선 Linux 커널을 통째로 넣기도 하니까 굳이 RT-OS를 고집할 필요는 없고요. Micro C/OS, eCOS 같은 커널 소스 부터 참고해 보세요. 오픈소스니까 커널구조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테니까요.
라스코니 [chouoo]   2012-04-02 12:42 X
1. 장단점
    PC 랑 똑같습니다. 근데 RTOS 라면 좀더 low level API 를 호출할 건덕지가 있을 것도 같네요.
2. 선행기술
    보드나 I/O 모듈 등에 대한 RTOS 드라이버(BSP) 가 있는지 보시고, 디버그 환경이 어떤지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3. RTOS에서 사용
    RTOS에 맞는 드라이버 소스 또는 라이브러리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드라이버가 있다면 PC 베이스와 별차이 없습니다.
4. HW 구성
    필요충분 조건으로 RTOS가 지원하는 프로세서가 탑재된 보드여야 합니다. 그리고 디버깅을 위한 ethernet, uart, jtag 등도 있어야 겠네요.

크레브 [kkol]   2012-04-02 14:01 X
PC Base로 하셨으니.. PC(윈도우)Base RTOS로 접근하는게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합니다.
RTX , INtime 등이 있는것으로 압니다.  윈도우 하부단에서 RT 프로세서가 돌아가고, 일반 윈도우GUI 프로세서가 같이 돌아가는 방식입니다.
물탄찬밥 [moolbob]   2012-04-02 14:22 X
돈 좀 들어가도 타겟보드의 충실성(하드웨어,운영체제)를 깔아놓고 시작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보드에 리눅스 운영체제 들어가 있으면 편하겠죠. 하드웨어는 나중에 확장시키고 싶어도 못하게 되니, 나중에 확장하다가 소프트웨어적 제약을 해결하기가 힘드니까요.
송신영 [palindrome]   2012-04-02 14:58 X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VxWorks 같은 경우는 개발 환경 구축하는데 비용이 약 8천만원 정도 들어가는것 같은데요..
이거 맞는 건가요? 아니면 특수한 경우인지 궁금하네요...
핸드폰 처럼 Copy가 많은 경우에 사용하는 건지...
저희는 많이 개발해도 몇 십개 정도가 전부일 것 같은데..
그리고.. 일반 PC에 그냥 VxWorks 설치할 수있나요?
라스코니 [chouoo]   2012-04-02 17:50 X
vXworks는 8천 ~ 1억 정도 할 것이고요, 로열티는 변수고
일반 PC에 vxWorks를 설치한 후 embedded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되며, 프로그램 이미지만 타켓에 전송하여 실행하는 구조입니다.
윈도우용과 리눅스 용이 있습니다.
망치 [mangchy]   2012-04-02 18:43 X
굴에 회사가 있는 제이보슨인가 아이보슨인가하는걸 씁니다.  맨날 헤깔림.
처음 시작할때 천만원에 라이센스 천카피, 런타임 천원...
뭐 성능대비 가격때문에 제품에 적용했습니다.
lg세탁기에도 들어갔다하고, 저희 두번째 칼라 lcd 기록계에도 적용합니다.
지원하는 cpu선정하고, 그쪽 사장님이 시간 되는데로 기술 지원 잘 해줍니다.
다음에는 그냥 리눅스로 갈아타려 합니다만...
우분투에 code.blocks설치해서 개발해보니 할만하네요...
빌더(TWx) [builder]   2012-04-02 20:06 X
정해진 시간 안에 응답이 보장되어야 하는 것을 요구하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굳이 RT-OS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요. 더군다나 생산규모가 큰 것도 아니고 수십개 정도인데 비싼 VxWorks 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오히려 Embedded Linux가 비용효과적인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Embedded Linux 도 RT 응답특성을 갖게 커널을 수정한 버전들도 있고, 요즘은 개발환경이 좋아져서 호스트 시스템을 리눅스로 사용해도 되고, 윈도우즈를 이용할 수도 있고요. Visual Studio 통합환경을 이용해서도 코딩/디버깅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릴리즈 제품에는 네트웍 인터페이스를 넣지 않더라도, 개발시에는 보드에 네트웍 인터페이가 구성되어 있으면 코딩/디버깅 하기가 수월합니다. 타겟 보드에 BOOTP 프로토콜로 커널을 올리기도 편하고, 또 네트웍이 지원되면 NFS로 타겟 보드 대신 호스트 측 PC를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요. 활용할 수 있는 소스코드도 많고 Embedded Linux 쪽이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요. 바로 커널을 올려서 동작 확인이 가능한 Embedded Liunx 용으로 나온 보드들도 많으니까, 적당한 보드를 하나 구해서 이 보드를 레퍼런스로 삼아서, 타겟 보드를 여기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는 것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될수 있겠고요.
송신영 [palindrome]   2012-04-03 14:10 X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번 정보 수집의 목표는 반도체 후공정 설비에
RTOS를 사용하는 것이 비합리하다는 것을 이해시켜야되는 것이어서요..
RTOS 개발 환경이 너무 다양하고 기본 Base를 지원하는 업체마다 특징도 다양해서..
아직 뭐라 감이 잘 안잡히네요..
암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012 [mbyes]   2012-04-09 14:44 X
RTOS 사용 하는 제일 큰 목적이 watchDog 아닐까요. 오에스 뒈져도 로그 남기고, 무조건 재부팅, 다시 재할일 수행.
매인터넌스의 효율을 최대화. 저는 사장이라면, 펌웨어 나 RTOS 만 적용 시킬 것입니다.
장비가 스톱되어서 라인이 멈추었는데 사람올때 까지 기다린다면,,, 후덜덜,,,,, 상상만 해도 덜덜덜.......
저렴한 것은 리누딕스 라는 칩 쓰는게 괜찮은데, 11년전에 50만원 했었습니다. 가장 좋았던건 랜에 셀렉트 함수를 사용 할 수 있었던것 입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21253 RTOS에서 개발 하시는 분 있나요? 송신영 10136 2012/04/02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