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21841] 코드기어, 엠바카데로, 그리고 델파이 커뮤너티..
주정섭 [jjsverylong] 5931 읽음    2012-09-27 15:48
델파이 멸망론이 처음 등장한 때는, 아마도 안델스 헤이즐버그가 당시의 볼랜드사를 관두고 MS로 이적했던 때라고 본다. 델파이의 아버지가 엠에수로 야밤도주했으니, 이제 델파이는 조만간 망할 것이다라는 예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의 델파이 버전이 대략 5 정도가 아닌가 싶다.

그 예언은 적중하지 않았지만, 어느 정도 타당성은 있었다. 이때부터 델파이는 혁신은 없고 현상 유지와 서드파티를 덤으로 끼워 새버전이랍시고 팔아먹는 작태를 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버전 6 에 등장한 칼릭스는, C++ 라이브러리인 QT의 도움을 입어 만들어졌다. 들리는 소식에 따르면, 향후 델파이 버전은 자체 컴파일러 대신 LLVM로 대체할 예정이라는데, 뭔가 냄새가 나지 않는가? 이때부터 델파이 개발진들은 컴파일러 만드는 실력에 의심을 받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가장 안정된 델파이 버전이라고 하는 7은, 사실 별기능 추가없이 버그만 고쳐서 서드파티 몇개만 끼워서 나온 버전이다.

그러나, 이때까지 굳건하게 델파이 광신도였던 나는, 델파이의 화려한 영광은 다시 도래할 것으로 굳게 믿었다.

당시 델파이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은, 말도 안되는 유치한 판매정책과, 델파이로 번 돈을 엉뚱한데다 쏟아붙기를 반복하는 델파이 상위 책임자들, 즉 경영진들의 무능함이 매우 심각했다.

그래서 나는 델파이가 코드기어라는 회사로 독립을 하고, 후에 엠바카데로로 넘어갔을때 내심 기뻐했었다. 드디어 저 무능한 델파이 경영진들이 물갈이되서 델파이가 진정으로 거듭날수 있겠구나라고 기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전혀 달랐다. 내 기대와는 달리, 저 무능한 경영진들은 고스란히 코드기어로, 다시 엠바카데로로 함께 넘어갔었던 모양이다.

왜냐하면, 그후로도 웃기는 판매정책과 안일한 개발 정책은 여전했기 때문이다. 델 사용자들이 오브젝트 파스칼 문법 중에서 아주 오랫동안 요구한 기능 중 하나가 클래스 메서드와 속성, 클래스 초기자 등의 기능이었는데, 그것이 겨우 2007 버전에서 일부 들어가게 된다.

델파이는 초기버전 이래로 2007까지 오브젝트 파스칼 문법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기막히지 않는가? 초기버전이 너무 완벽했었나? 아니면 델파이 개발진들이 언어 기능 추가를 꺼려했었나? 아니면 서드파티 개발자들을 위해서 버전호환성을 유지하고자, 언어기능 추가를 보류했었나? 기가 막힐 노릇이다.

그래도 나는 2007에 드디어 등장한 클래스 메서드와 클래스 속성을 보고 감동을 먹었다. 이제 델파이가 다시 발전하는가 보다라고... 그런데, 젠장할... 이왕 만들어 줄거면 클래스 초기자(생성자)도 만들어 주지, 이건 왜 2007 버전에 만들어 주지 않았을까...

2006 버전부터 시작한 델파이 IDE의 허접하고도 많은 버그들 때문에, 델파이 사용자들의 아우성이 매우 씨끄러웠지만, 델파이 커뮤너티들은 그 모든 잡음을 싸그리 제거시켜버렸다는 사실을 나는 나중에 알게되었다. 당시 Team B라는 델파이 커뮤너티에서는 델파이 불만자들을 숙청하는 짓을 하기 시작했다.

내가 열렬히 구독했던 델파이 매거진이 폐간된 시점도 2007 버전 즈음이었다고 기억한다.

그러나 그때까지, 여전히 광신도였던 나는, 엠바카데로로 옮겨간 델파이의 저력을 믿었고, 2009에 드디어 지네릭과 유니코드 기능이 지원된다는 것에 엄청난 기대를 가지고 구매하게 된다. 닷넷같은 현대 언어에 비해, 매우 낙후된 오브젝트 파스칼 문법에서, 지네릭은  가장 획기적인 기능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그 기대의 결과는 참혹했다. 앞으로 당분간 델파이 새버전을 구입하지 않겠노라고 다짐할 정도로, 2009는 엄청난 버그 투성이었기 때문이다. 엠바카데로는 도대체 사용자 테스트 혹은 유닛 테스트 같은 것은 전혀 하지 않고 만드는가 의심이 갈 정도다.

이후 델파이 새버전들을 조금씩 살펴보긴 했지만, 추가되는 기능마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미완성이며 버그투성이고, 해마다 가격은 슬금슬금 올리고, 1년마다 버전업을 해대니, 만일 그 버전들을 모조리 샀다면, 버전관리에 머리가 터져버렸을지도 모른다.

내 기억이 맞는지 모르겠으나, 델파이 프로 버전의 가격은, xe때 5-60만원대로 기억하는데, xe3은 어느새 백만냥으로 올라가버린 모양이다.

지나간 과거 상황들을 종합해 봤을때 볼랜드, 코드기어, 엠바카데로 모두, 소비자를 봉으로 보는 악덕기업이다. 나는 왜 이런 악덕 기업들에 충성을 했을까? 주변 사람들에게 델파이 사용을 권하고 사라고 그리 설득을 하고 다녔을까?

나를 포함한 델파이 커뮤너티 상당수가 이 악덕기업들의 말도 안되는 행위들을 매우 옹호적으로 편들어줬다는 고약한 냄새를 지울수가 없다.

언젠가부터 델파이 커뮤너티에서 델파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것은 금기사항이며, 그것은 전체 커뮤너티의 위협을 가하는 행위로 간주되었단 말인가?

우리는 개발자일뿐, 코드기어나 엠바의 봉이 아니지 않는가? 우리는 토론과 비판을 통해서 더 나은 개발툴, 더 저렴한 가격에 개발툴을 살수 있도록 도모해야 하지 않는가? 왜 델파이 커뮤너티에서는 델파이를 비난하면 안되는가? 비판은 귀에 거슬리지만 발전을 위해서는 필연적인 것이 아닌가?

광신도에서 벗어나 델파이를 객관적으로 보기 시작한 순간, 나의 큰 잘못을 깨달았다. 나는 어느 새인가 비판을 싫어하고 내 현실을, 혹은 내가 가진 것, 내가 익숙한 것을 옹호하는 수구 꼴통 보수주의자가 되어 있었단 것을 깨달았다.

개발자의 자질중 매우 중요한 것이, 객관성과 논리인데, 그것을 나는 어느 순간부터인가 잃어버렸던 것이 아니었을까?

다행인 것은, 4년전 쯤에 이 게시판에 올린, 델파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한, 거의 동일한 내용의 글에 비해서, 얼마전에 올린 글은 별로 반론이 별로 없었다는 것이다. 당시에 올린 글에는 상당수의 델사용자들이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며 나를 공격하였으나, 얼마전 올린 글은 오히려 동의하는 댓글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불행인가 다행인가?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으나, 안타깝게도, 이제 델파이는 정말로 끝장났다에 대해서 다들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다는 것인가?

그러나 정말 다행인 것은, 델파이가 끝장 나던 말던, 우리 개발자들은 살아 남을 것이란 사실이다. 결코 델파이 수명과 자신의 수명을 동일시하는 착각은 하지 말자.

델파이는 개발툴일 뿐이고, 나는 개발자일 뿐이다.

자가용이 사라진다해도 자전거로 출퇴근 할수가 있다. 이 뻔한 사실을 왜 나는 잊고 있었을까?
오랑캐꽃 [oranke]   2012-09-27 16:39 X
엠바의 삽질에 대한 우려와 실망은 저도 많이 공감합니다만,
그 근거로 삼으신 몇가지 사항은 수정이 필요할 듯 합니다.

먼저 앤더스 헤이즐버그가 MS로 옮겨간 것은 1996년도 입니다.
http://en.wikipedia.org/wiki/Anders_Hejlsberg

델파이 5는 1999년에 나왔고요.
http://en.wikipedia.org/wiki/Borland_Delphi

그리고 델파이 XE의 국내출시가격은 139만원이었습니다.
http://www.imaso.co.kr/event/dev/devevent.htm

이 글과 비슷한 뉘앙스의 글을 4년전에 여기에 올렸다가 다구리를 당하셨다고 적으셨는데...
2007~2008년 사이의 글 중에서는 못찾겠네요. 링크 좀 부탁드립니다.
주정섭 [jjsverylong]   2012-09-27 17:48 X
헤이즐버그는 델4때 이적했나 보군요.. 델xe 프로 가격은 당시 달러가를 한화로 바꾼 내 기억에 따른 착각인가 본데, 타당한 이유없이 델파이는 미국 현지가보다 항상 약 100프로이상 비쌌던것은 오래된 관례였던가 봅니다.

과거글을 보니 3-4년전이 아니라, 1년전에 올린 글이군요. 이 또한 2009 버전 전후로 델파이에 대한 안 좋은 기억과 겹치면서 그때부터 델파이에 대한 회의가 들었는데, 실제로 글을 올린 것은 2011년 같은데, 이 또한 착각입니다.
소지영(몽인) [neonim]   2012-09-27 17:55 X
릴렉스~ ^^

민성기님 라즈베리파이 안사세요?
"캠핑가서 보일러 온도조절및 게임등 다기능으로 사용 가능해요..." 라고 펌프질 해봅니다.
(그냥 뻠프질이지 성능이 따라 준다고는 장담 못합니다.... ㅎㅎ)
오랑캐꽃 [oranke]   2012-09-27 18:57 X
주정섭님//
헤이즐버그는 델2 발표 전에 옮겨갔어요.
(사악신님의 파스칼 연서 추천! http://saksin.tistory.com/1000 )
델파이 국내가격은 참 문제가 많았죠. 터보델파이 프로와 델4PHP의 악몽이 떠오르네요.
뭐 앞으로 나아지리라 믿습니다.

소지영님//
라즈베리파이 눈팅중이었는데... 갑자기 OpenPC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보일러는 그 놈으로 만들라구요~~ 우후훗!!
소지영(몽인) [neonim]   2012-09-27 19:14 X
OpenPC라..
이제 보일러랑 대화 하시겠네요.
^^
박지훈.임프 [cbuilder]   2012-09-27 19:14 X
전체 맥락에서는 공감하는 부분도 꽤 많은데, 판단의 근거들로 드신 것들 중 전혀 사실이 아니거나 상당히 거리가 있는 부분이 많네요. 민성기님이 지적하신 헤즐스버그 퇴사 시점을 포함해서요. 일일이 썼다가는 싸우자고 하는 꼴이 될 정도...

딱 한 가지만 지적하자면, 프로페셔널은 단 한번도 몇십만원대였던 적이 없습니다. 2000년대 중후반까지 180만원까지 했었고요.
지금 xe3 버전에서 103.5만원으로 내려간 게 역대 최저입니다.
민성기님 말씀대로 바로 이전 버전인 XE2까지 프로페셔널은 139만원이었고, 그것도 2009 버전까지 150만원이 넘던 걸 가격을 내린 거였습니다.

몇십만원의 기억이 있으시다면 그건 분명히 업그레이드일 겁니다.
오랑캐꽃 [oranke]   2012-09-27 19:14 X
아무튼 델파이의 몰락(?)은 헤이즐버그의 이적과 별 관계가 없습니다.
그런데... 델파이에 몰락할 황금기가 있기는 했나요??

자동차가 사라지는건 아니고 자동차회사 한군데가 어려워지는 거겠죠.
저는 윈32가 굴러가는한 그냥 그 회사 중고차 타고 다닐래요.
비포장도로에서는 머드타이어 붙은 다른 차종을 고르면 되고요...
박지훈.임프 [cbuilder]   2012-09-27 19:24 X
커뮤니티가 노골적인 반감으로 공격했다고 하시지만, 주정섭님은 본인이 말씀하시듯 광신도에서 벗어난 정도가 아니라, 배신감과 실망감이 지나쳐 공격적인 수준까지 종종 가시기에 저를 포함해 많은 분들의 반감을 사신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주정섭님이 쓰시는 것과 똑같은 델파이를 쓰면서도 저나 다른 많은 분들의 실망감과 배신감은 주정섭님이 느끼는 정도의 수준은 아니거든요. 어쩌면 저나 다른 분들의 델파이 사용 수준이 주정섭님의 수준에 턱도 없이 못미쳐서 그럴까요? 어쨌든, 공격적인 글을 쓰시고는 그 반응에서 노골적인 반감을 느꼈다고 주장하시는데요. 커뮤니티를 탓하는 것도 좋지만 주정섭님의 글에서 나타나는 노골적인 반감도 돌아보시면 어떠실지.
크레브 [kkol]   2012-09-28 04:29 X
"델파이는 개발툴일 뿐이고, 나는 개발자일 뿐이다. "
C++빌더를 주력으로 사용하지만.. 위 의견에는 전적으로 동의하고요.
결국 델파이나 C++빌더 개발사가  망하면 그때 바꿔도 전혀 늦지 않죠. ( 당장 망해도 3~5년은 계속 사용해도 별 타격이 없고요.)
굳이 정신력을 소모해 가면서까지 반감을 표현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필요없는 반감을 강하게 표시하시니 그에 따라 또한 반감이 나오는게 아닐까요?
비베시러 [mikybor]   2012-09-29 00:10 X
저도 c++빌더를 주로 쓰고 있지만,
델파이나 c++의 미래가 밝아 보이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기능에 비해 뜨지 못하는 이유가 과연 무엇일지...
Lyn [tohnokanna]   2012-10-03 23:33 X
개발툴의 완성도가 시망이어서 아닐까요...

+ -

관련 글 리스트
21841 코드기어, 엠바카데로, 그리고 델파이 커뮤너티.. 주정섭 5931 2012/09/27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