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삼성전자 판매점에서 아티브 스마트PC를 써본 데 이어, 새벽에 내 오래된 터치 스위블 태블릿 노트북에 윈도우8을 설치. 이전에 가상머신과 같은 일반 PC 장비에 설치했을 때와는 완전히 다름. 터치 기능을 갖춘 장비에서는 윈도우8은 아주 제대로 돌아가는 느낌.
그런데 일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데스크톱 모드로 나가게 되면 황당해짐. IE가 대표적인 케이스. 터치 기반으로 꽤 재미있게 쓰다가 갑자기 바깥으로 쫓겨나가는 느낌이랄까. 이건 MS의 딜레마. 윈도우가 가지고 있는 어마어마한 자산인 기존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으니.
아마도 MS는 기존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고 새로운 윈도우8 스타일 애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할 수 있는 윈도우RT를 순혈적인 윈도우8, 그리고 기존 애플리케이션까지 실행할 수 있는 PC 윈도우8은 변칙적인 존재로 간주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듬.
그런 관점에서 발머와 MS가 서피스 프로를 계속 미루고 어떻게든 서피스RT에서 조금이라도 거의 꺼져가는 불씨를 피워보려고 애쓰고 있는지도. 하지만 그 엄청나게 많은 기존 윈도우 애플리케이션들이 MS의 지금을 있게 했고, 만약 그것을 부인하거나 연속성을 제거하려 하면 MS는 몰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현실.
그런 면에서 MS가 터치가 안되는 PC에서까지 터치 UI를 밀어붙이면서 윈도우를 태블릿 OS로 받아들여달라고 떼를 쓰고 있는 건, MS의 장기적 생존과 발전적 성장이 둘 다 쉽지 않은 상태에서 그 사이의 너무나 위태로운 경계선 위를 걷고 있는 것.
사실 따지고 보면,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윈도우8에서 메트로 인터페이스에서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때의 이질감은, 정확하게는 새로운 '윈도우8 스타일'로 새로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의 이유가 전혀 아님.
그건 기존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들이 단지 1. 전체화면 모드가 아니고, 2. 컨트롤들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 따지고 보면 두 UI 사이의 차이가 이 두가지.
그러니까, 기존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해도 타이틀바가 없는 전체화면 모드에다 컨트롤들의 크기를 늘려놓으면 윈도우8의 메트로 스타일 앱들과의 이질감이 없어진다는 것.
그런 면에서, 오히려 엠바카데로는 방향성을 제대로 잡았는지도. 최신의 델파이/C++빌더 XE3에서, 메트로를 지원하는 대신 아류처럼 보이는 '메트로폴리스 UI'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데, 이것은 WinRT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일반 Win32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전체화면모드와 큼직큼직한 컨트롤들을 템플릿화한 프로젝트.
즉 엠바카데로가 진작부터 윈도우RT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을 했다면(실제로 그렇게 되어가고 있지만) 굳이 시간과 자본이 많이 들어가는 WinRT 투자를 해서 완전한 윈도우8 스타일 지원을 하기보단, 오히려 윈도우8 스타일 짝퉁을 만드는 쪽으로 선택한 것.
짝퉁이기는 해도, 메트로폴리스 UI라는 건 윈도우RT 장비에서 돌릴 수없다는 점과, 윈도우 스토어에 올릴 수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리는 다 챙긴 셈. 개인적으로 윈도우 스토어의 성공 가능성도 장기적으로도 비관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델파이/C++빌더의 방식이 최소 투자로 상당히 좋은 선택을 한 것으로 평가됨. 적어도 현재로서는.
|
http://blog.devquest.co.kr/imp/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