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파이어몽키가 등장했을 때부터 시종일관 반대를 외쳐왔으나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이젠 그러기도 지쳤구요. 원래 조직에서 뭔가를 시작할 때는 어떤 이유나 목적이 분명히 있을 텐데.. 그래서 파이어몽키를 시작했을 텐데.. 어느 정도 세월이 지나면 처음의 이유와 목적보다는 그것 때문에 옆에 같이 있게된.. 정들어버린 동료, 조직, 그간 들인 비용, 그 일 때문에 발생하는 쥐꼬리만한 이득 등, 다른 것들이 더 중요하게 느껴져서 결국 콩코드의 오류를 범하고 말죠. 지금 파이어몽키가 딱 그런 상황인 듯 합니다. 그래도 주인의식이 남아 있는 경영인이 있다면 당장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더 나은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을 텐데요. 그렇지 않은가 봅니다. 델파이와 빌더에 애정이 있는 더 좋은 경영인이 등장해주길 바랍니다만.. 쉽진 않네요. 윈도우 전용으로 쓸 프로그램이라면 파이어몽키는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당연하게도 오랫동안 업그레이드되어온 VCL만큼의 안정성도 없을 뿐더러, 기본 목적부터 윈도우 전용 프로그램에 그리 적합한 것이 아니라서 앞으로 버전이 계속 올라가서 완성도가 100%에 가까워지더라도 VCL을 대체하기엔 많이 부족합니다. 그렇다고 못쓸 정도는 아니라고 보이는데, VCL에 비하자면 그렇다는 거죠. 다만 모바일 개발용으로는 상당히 괜찮습니다. 전 몇년전에도 FA 목적의 안드로이드용 앱을 만들어 납품했었는데 그때도 상당히 쓸만했고요, 지금은 기존에 VCL 윈도우용으로 개발했던 금융기관 플랫폼을 파이어몽키로 재개발하고 있는데요. 완성도가 100%는 아니지만 대규모 앱을 개발할 정도의 기능과 성능은 충분히 제공합니다. 모바일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데 동일 소스를 멀티플랫폼으로 윈도우용으로 최대한 재활용하는 목적이라면 괜찮은 선택입니다. 다만 플랫폼간 차이들에 주의해서 조건컴파일을 꽤 써야 할 겁니다. 파이어몽키 초기에 사진편집 관련 기능의 아이패드-윈도우 멀티플랫폼 앱을 개발한 적이 있었는데, 플랫폼간 차이들, 특히 저수준에서의 차이를 완전히 없애주는 게 아니라서 좀 짜증이 많이 나더군요. 다시 한 번 주장하지만,
원 소스 멀티 플랫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윈도는 Win API를 이용한 VCL 안드로이드는 안드로이드 API를 이용한 VCL 맥은 맥 API를 이용한 VCL 서로 호환되지 않고 (VCL이라는 이름도 같아야 할 필요는 없죠) 해당 플랫폼에 최적화 되는 게 맞다고 봅니다. 원 소스로 여러 플랫폼을 다 개발하는 경우는 영세할 수록 그렇게 하죠. 그런데 델파이 가격이 영세 업자들이 쓰기엔 부담스럽구요. 중급 이상의 규모에서는 플랫폼별로 개발자를 따로 두는 경우가 많은데요. 플랫폼별로 아예 툴을 따로 만들어서 여러 플랫폼을 지원하고 싶으면 여러 델파이를 사게 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만은... (에이 몰라요~ 그러든지 말든지... ㅡㅡ; ) one source - multi platform 은 초보자들 꼬득이기 위한 상술에 불과한 거고.
기술적인 문제에 부딛혔을 때, Java 모르고 안드로이드 프레임웍 마스터 하고 있지 못하면 아무것도 손 못 댑니다. C++, Java, C# 은 완전하게 마스터 해놓으세요. 프로젝트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신세계를 경험하게 될 겁니다. 금전적인 수입도 커지고. 요즘은 하나의 언어 만으로 평생을 욹어 먹는 시대가 결코 아니에요. C++, Java, C# 을 완전하게 마스터 하고 있지 못하면 우물 안에서 자기만족하면서 코더생활에 머무를 뿐 프로젝트 매니져로 발 디딛지 못합니다. 1.VCL
-윈도우기반이면 FMX보다 장점이 훨씬 많습니다. -ActiveX 사용 시 필수(PLC,장비등 각종 드라이버, 영상제어, 동영상컴포, 웹컴포, CAD컴포 등등등). FMX 대체불가능 -하이브리드(웹+네이티브) 역시 필수. FMX 대체 불가능(자체 웹즈라우저 버그 상당. embed Chromium 웹브라우저가 있긴한데 VCL이 훨씬 좋음) -DBGrid+DAC 개발방식을 선호하는 경우 -꽤 안정적인 사용컴포를 사용하는 경우(DevExpress, TMS, Alpha, uniDAC 등등) -PC가 저사양인경우(32비트, 2GB램등) 2. FMX 1)+2)+3) 조건이면 모바일쪽 공수 상당히 줄어들며 협업도 하기 좋고 저는 실무에서 쓰고있습니다. 1) 외부라이브러리(ActiveX류)를 안써야 하고 2) DB 또는 웹, 소켓등 데이터 및 UI 처리만 하는 경우 3) 최소 2개 이상 플랫폼 운영하는 경우(윈도+안드로이드+ios, 윈동+맥 등) -버그 많으나 치명적인것보다 이것도 안돼? 하는것이 대부분 -UI를 복잡하게 만들때 편함 -ERP, MES, Monitoring, FA등 충분히 할만하며 특히 모바일 연동 개발시 공수 많이 줄어듭니다. 요때만큼은 one-source 플랫폼이 좋네요.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FA 도 그렇고 POS 도 그렇고 C#으로 많이들 넘어가시네요.
자마린이 있는 모바일은 더 말할 것도 없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