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기에 충실해야하는것도 맞고 엔진과 콘텐츠에 충실해야하는 것도 맞습니다.
다시 말하면 방향을 잡아야합니다.
~2000년 이전에 이미 3D 그래픽적 성장기가 마무리되고 2000년 초반에 성숙기도 종료되었습니다. (남은건 속도경쟁 정도..)
요즘은 그 멋진 그래픽에 물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3D 클라하던분 중 물리로 넘어가신 분도 있습니다.
~2000년까지 네트워크쪽도 성장기를 거치며 2005년 전후로 성숙기를 맞이했습니다.
이미 어떤 서버코드가 어떤 성능을 내며 어떤 구조로 작성하는 프로그래밍이 좋은지에 대한 결론은 사실상 종결되었습니다.
2005년 당시 일본에서는 이미 게임 AI의 시대가 올 것으로 예견하고 한국에서도 몇 번 세미나를 하였습니다.
~2012년까지 AI의 성장기가 사실상 종결됩니다. 그리고 성숙기가 남아있는데 이 부분은 다양한 게임에서 AI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될 것입니다. 이미 콘솔 게임류나 패키지 게임류에는 깊이 도입되고 있으며 온라인 게임도 부분 도입되고 있습니다.
즉, 3D 클라이언트를 목표로 하신다면 이미 성숙된 분야이기 때문에 기초부터 최신 흐름까지 깊이있게 따라오셔야합니다.
특히 학생이시라면 목표점이 있는 분야이므로 계획을 세우시고 열심히 하세요.
네트워크도 비슷한 실정입니다. 기초부터 최신 기술까지 익혀보세요. 시중에 책으로 다 있으니 한권씩 찾아서 습득하세요.
AI는 실제 필드에서는 이슈가 되고 있지만 학생으로서 AI만 달랑해서 필드로 진출하기 쉽지 않습니다.
필드에는 클라/서버의 경험을 가진 AI 프로그래머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글로벌 리더들이 활동하는 GDC 혹은 프랑스 AI 컨퍼런스 등은 그 구성원들이 대부분 온라인 보다는 패키지 쪽이 많습니다. 물론 스타와 같은 전략 시뮬레이션은 패키지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10 GDC에 나왔던 리더들이 2011년에도 큰 변화가 없는것으로 봐서 AI 흐름도 성장이 멈추고 성숙의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보여집니다.
세계적 흐름은 게임 내용을 프로그래밍하는 AI적 프로그래밍 이슈가 지금의 화두이며 그 때문에 3D 엔진이나 물리엔진 혹은 네트워크 프레임워크나 데이타 관리 모듈 들이 엔진화 되어있는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런 엔진들을 사용하려면 당연 기본기가 있어야합니다.
학생이시니 기본에 충실한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분명히 하세요.
책을 통해 기존 내용들을 하나씩 익히면서 해당 내용에 대한 포폴을 남기면 3년후 졸업할때는 충분한 실력이 생겼을것입니다.
이런 말이 있죠..? 포폴로..
"필드에 있는 몹을 쳐서 잡는걸 만들면 취업 된다."
(친구와 함께 잡을수있으면 더 좋다.)
지금도 유효하다고 보여집니다. --;
ps.
C++이나 기타 다양한 요구사항들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충분히 압박받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ㅋ
박진영 님이 쓰신 글 :
: 제가 지금 지방에 있는 4년제 대학교
:
: 컴퓨터공학과 2학년(예정)에 다니고 있는 대학생인데요.
:
: 게임개발자가 되기 위해선 모 3년제 전문대의 게임과를 갈려고
:
: 생각했지만 반대가 너무센다가 나이가 칠순이 넘으신 저희 할머니까지
:
: 저에게 전화를 하시는 바람에 일단 컴공과를 다니면서 게임 개발자가
:
: 될수있는 방법을 찾고 있는데요. 근데 제 친구들은 일단 졸업장이 필요하니까
:
: 다니고 있는것 같더라구요 ㅡ.ㅡ;;;
:
: 저는 가고 싶은쪽이 게임업계라서 졸업장 보단 개인작품이 중요하고
:
: 실무에 들어가려면 일반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보단 게임 개발 프로그래밍이
:
: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게임 개발 프로그래밍을 배우려고 하는데
:
: 제가 살고있는 곳은 지방이라 게임개발을 교육 해주는
:
: 관련학원이 없습니다.ㅡ.ㅡ; 그래서 힘들겠지만 관련도서로 독학을 해서
:
: 개인작품을 만들거나 이것도 안되면 서울에 있는(지방이라 게임 학원이 없어요ㅡ.ㅡ;)
:
: 게임학원에 다녀서 배운다음에 개인작품을 만들려고 생각하는 중입니다.
:
: 제가 일단 게임업계로 가면 처음에 그래픽 프로그래머로 시작해서 경력이 쌓이고
:
: 나면 기획자로 간다음에 결과적으로 제가 회사를 차릴 계획입니다. 이것도 반대에
:
: 부딪치면 팀으로 시작해서 관련 공모전에 나갈 생각까지 하고 있습니다.
:
: 그래서 제가 말하려는 주요 질문은 게임업계에 가기 위해서는 자격증취득보단
:
: 어떻게든 완성도 있는 개인작품을 만들어서 경력과 스킬을 올리는 것이
:
: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그래픽기능사(?)나 정보기능사 같은 자격증 취득이
:
: 도움이 되나요??? 지금 이문제로 친구들 대학교 다니는거 처럼 다니다가
:
: 게임개발 이고 뭐고 다 날려먹는게 아닐까 하는 고민때문에 불면증 걸려서
:
: 밤에 제대로 잠도 못자고 있습니다. 학교도 거기는 특수직종(??)이라 뭐라
:
: 해서 답을 못하고 있고 그나마 학교에 있던 게임동아리는 폐지되어버린지
:
: 2년이 넘었다고 합니다. ㅡ.ㅡ;;; 답변 부탁합니다.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