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나이가 작으니 벌써부터 게임 프로그래밍을 하겠다 아님 다른 프로그래밍을
하겠다 정하는것보다 지금 가장 하고 싶은것을 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물론 지금 뭘 할것인지를 굳게 정했다면 정한쪽으록 계속 공부하는게 좋죠..
전 Cy_님 보다 훨 나이가 많지만 지금도 뭘 딱히 정했기 보다 일단 제가 하고 싶은 분야를
집중적으로 파고 들고 있습니다. 저도 작년까지는 게임 프로그래머가 될 생각으로 대학 4학년
때부터 계속 게임프로그래밍에 대해서만 공부하다 작년에 회사를 아주 좋지 않게 퇴사하면서
제가 꼭 게임프로그래밍난 좋아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더군요. 전 프로그래밍을 아주 좋아하고
그 중에서 게임 프로그래밍을 좋아하는거지 다른 DB아 네트워크나 AI등 타 부분도 좋아한다는
것을 생각하고 지금은 제가 하고 싶은것 위주로 하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지금이라도 자기 특기하나라도 확실할게 연마해야 될것이지만 전 그냥 뒤는 생각하지
말고 제가 하고 싶은걸 하자고 정했습니다. 원래 대학을 전산학과로 간것도 제가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었어 간거지 무슨 장래의 전망을 따진건 아니니까요..
CY_님은 아직 고3이니 시간이 많으니 여러가지를 접해 보기를 바랍니다. 그러다 보면 자기가
원하는걸 선택 할수 있을리라 생각됩니다.
아 그리고 전 밤에 잠 안오면 제가 가진 책 중 가장 따분하고 재미없고 어려운 책을 봅니다.
그럼 바로 잠이 오더군요^^;;
Cy_ 님이 쓰신 글 :
:
: 올해로 고3이 되는 수험생입니다.
:
: 작년 이맘때부터 이곳에 들리기 시작해서, 많은 정보와 가르침을 받았구요..
:
: 실례를 무릅쓰고 이런 글을 올립니다..
:
: 다른분들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
:
: 초등학교 3학년때 본 보글보글과 고인돌이란 게임은 그당시 저에겐
:
: 충격이였습니다. 아기자기한 그림들이 왔다갔다 하는것은 저에게는
:
: 너무 신기했고, 단순히 만들면 재미있겠다란 생각을 갖게 했습니다.
:
:
: 초등학교 4학년 말 집에 486컴퓨터를 들여 놓게 되었고, 자연스레
:
: 전 집근처 컴퓨터 학원에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
: 그학원은 그주위 학원들이 버린(?) gw-basic부터 가르치기 시작했습니다.
:
: 그때부터 저의 나름대로 게임개발(?) 이 시작되었습니다.
:
: 간단한 사격게임류나 달리기 게임 같은걸 만들었었습니다.
:
: 그때 혜성처럼 개구리란 게임이 나타났습니다.
:
: 그당시 저의학원에서는 '개구리'라는 gw-basic용 게임이 선풍적인 인기를
:
: 끌고 있었습니다. 일종의 어드벤처 게임으로 선택문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
: 방식이였죠.. 결국 일주일내내 line 함수와 circle함수를 써가며 나름대로
:
: 동영상(?)도 있는 그런 게임을 만들곤 뿌듯해했습니다..;;
:
:
: 그뒤 학원에선 lotus나 dbase등을 가르키고 C를 가르쳤지만 이상하게도 그당시
:
: 저에겐 C라는게 잘 맞지 않아서 도중 끊어버리고(머; 제가 마지막 생존자였습니다만;;)
:
: 우연히 quick-basic을 얻게 되어 새로운 프로그래머(?) 인생이 시작되었습니다.
:
:
: 그때는 주로 머드메이커나 사브프로등의 툴킷을 모방하다가, svga라이브러리도 얻게되고
:
: 이리저리 하다가 중1때말때쯤 천리안의 '채소동'이란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
: 그곳에서 여러 사람들을 알게되었고, 중3말때까지 씨앗부터 시작해서, 창조,
:
: 터보베이직, 다크베이직 등등 온갖 잡다한 베이직과; 지금은 사장되버린
:
: 개발도구들만을;; 골라가면서 사용했었습니다. 중간에 델파이를 아주 잠깐 접했지만,
:
: 파스칼이란 언어에 적응 하지 못하고, 게다가 C에대한 공포심마저 갖고 있던 터라
:
: 베이직의 굴레.. 에서 벗어 나질 못했고, 프로그래밍도 오직 게임 위주로만 이루어
:
: 졌습니다.
:
: (베이직을 나쁘다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단지 'VB'을 제외한 나머지 베이직을 하다보니
: 그당시 흐름에 맞춰가지 못했었습니다..)
:
:
:
: 그후로 고1초.. 죽기아니면 살기로 vc++에 덤벼들었고, direct X를 익혔습니다
:
: 그리고 알고지내던 형의 추천을 받아 '빌더'를 제작년 말에 시작하게되었습니다.
:
: 주로 게임툴킷으로만 만들다가 대학에 관한 집안의 압력으로 인해,
:
: 정보올리피아드 공모전에 출품할 프로그램을 '빌더'로 짜게 되었습니다.
:
: 그때까지 게임과 관련되지 않은건 만들어 본적이 없기때문에 실패의 실패를 거듭해서,
:
: 기존과는 다른 개념의 ftp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었으나
:
: 전국대회에서 보기좋게 물을 먹게 되었습니다.
:
:
: 그후론 직접 프로그래밍 하기보단 방법론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
: 그리고 되돌아 보니 나름대로 구조화가 잘되었다고 여겨왔던 저의 프로그램이
:
: 단순한 트리구조로 밖에 안된다는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
: 게으름 탓인지 이후론 직접 코딩보단 종이와 펜으로 구조를 짜는데 집중 하게되었고,
:
: 작년말 다시 대회를 준비 하기 위해서 몇날 몇일을 아이템과 씨름을 했습니다.
:
: 자동분산처리 개발도구를 기획하게 되었고, 구조를 짜는데도 몇날 몇일을 투자하게되었고,
:
: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본 지식을 쌓기 위해 새벽내내 인터넷 사이트를 뒤지고,
:
: 학교에서는 숙면을 취하는 그런 생활을 지속하게 되었습니다.
:
: 그리고 게임이라는 한정된 범위(초짜인 제가이런말 하긴 건방지지만..) 프로그래밍에서 느끼지
:
: 못했던 새로운 즐거움과 재미를 알게 되었습니다.
:
: 하지만.. 신분이 수험생이다 보니 집안의 반대와 시간 부족으로 포기 하게 되었고,
:
: 지금은 독서실에 다니면서 뒤늦게 수험생의 자리로 돌아왔습니다.
:
:
: 지금 저는 매우 답답합니다.. 과연 게임 프로그래밍을 해야하는지..
:
: 아니면 다른 프로그래밍 쪽으로 방향을 전환해야하는지..
:
: 다른 쪽은 어떠한 길이 있으며, 어떤 것을 공부 해야하는지....
:
: 그리고 현실적인 문제인 수입은 어떠한지...
:
: 40살 혹은 50살이후의 프로그래머란 직업에 대해서도....
:
:
: 예전부터 친구들이 저보고 목표가 확실해서 부럽다라는 소리를 듣곤 했는데
:
: 지금은 오히려 다른 친구들이 부럽습니다...
:
:
:
: 재작년부터 괴롭히던 신경성위염이 다시 도진거 같습니다.
:
: 성격이 좋지 못해서.. 프로그래밍할때도 늘 위염을 안고 살았는데....
:
: 답답한 마음에 두서없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
: 여기까지 읽어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